국제적으로는 WTO 체제 출범 이후 기업경영의 세계화가 가속되면서 교역 조건으로 안전기준의 준수를 요구하는 선진국의 견제움직임과 통상의 규제 수단이
부상되고 있습니다.
국내적으로는 재해율이 지속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 노동기구(ILO)의 산업재해 통계를 기준으로 볼 때 노동 후진국에 속하고 있으며 정부는 일정한 산업
안전기준 미달기업 또는 재해 다발 기업 등에 대한 입찰 제한, 영업 중지, 보험료 차등 부과, 경영자 책임 등 규제가 한층 강화 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재해로 인한 직접 손실 비용과 간접 손실 비용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직접비:간접비=1:4 비율이 적용되나 언론 보도 등에 따른 기업의 대외적이미지 및 신뢰도 저하 등
정량화가 곤란한 간접비용 등을 감안하면 재해로 인한 손실 비용은 이보다 훨씬 커지게 되며 발생된 손실 비용은 궁극적으로 고객에게 전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장기적 손실 관리 측면에서 안전 보건에 투자하여 노동력을 보호하고 재해 손실을 줄임으로써 국가나 국제사회로부터 신뢰감을 확보하여 기업을
안정적으로 성장시키며 기업의 내재 가치를 향상시켜야 하겠습니다.
ISO 45001 | OHSAS 18001 |
---|---|
프로세스 기반 | 절차서기반 |
위험과 기회를 고려 | 위험만 고려 |
조직과 조직을 둘러싼 환경간의 상호작용에집중 | OH&위험요소와 기타내부이슈만 고려 |
HLS구조를 지닌 다른 ISO 경영시스템 표준과 통합관리용이 | HLS 구조를 지닌 다른 ISO 경영시스템표준과 통합관리 어려움 |
조직 진단
교육 훈련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구축
안전 보건
경영시스템
실행
내부 검사,
경영검도 및
시정조치